1. 건강하려면 많이 걷고 치아 관리하라
“80대를 건강하게 살고 싶다면, 60~70대부터 미리 준비해야 한다. 80대가 되고 나서 시작하면 늦다.”
여든살에 들어서면 몸이 하나둘 고장나기 시작한다. 보청기, 틀니, 지팡이, 약보따리가 일상이 되는 시기가 바로 80대다.
그래서인지 “현재 건강 수준에 만족하십니까?”란 질문에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한 80대는 전체의 14.5%에 불과했다. 오히려 ‘만족하지 못한다’는 부정적인 대답이 21.5%로 더 많았다.
인생 후배들을 위한 건강 관리법에 대한 질문에는 ‘평소에 열심히 걸어라’라는 응답이 전체의 77%로 가장 많았다. 젊을 때부터 관리하면 좋을 신체 부위로는 응답자의 81%가 ‘치아’를 꼽았다. 그 다음 허리, 하반신, 눈, 머리(두발) 순이었다.
김현정 서울대 치대 교수는 “구강 건강이 나빠지면 노쇠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가 나와 있을 정도로, 구강 건강은 노년기 삶의 질을 좌우한다”면서 “치아와 잇몸이 부실한 고령자는 영양 섭취를 제대로 하지 못해 기력이 금방 쇠하는데, 이렇게 되면 근력 저하와 반복적인 낙상, 만성질환 악화 등의 위험이 커진다”고 말했다.
“고령 환자들 중엔 씹을 때마다 아파서 먹는 게 겁난다는 하소연을 많이 합니다. 구강 관리의 기본은 올바른 양치질입니다. 양치질은 나이가 들수록 더욱 중요하고, 얼마나 제대로 하느냐에 따라 노후가 달라져요.
양치질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치아가 썩고, 식욕 저하로 만성적 영양 불량 상태에 빠지기 쉽습니다. 요양원에 계신 어르신이 갑자기 식사량이 줄면 치과 질환을 의심해야 합니다.”
2. 자식한테 손 안 벌릴 만큼은 모아둬라
노후 생활비는 평생 동일한 금액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나이가 들수록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은퇴 직후엔 바깥 활동이 여전히 왕성하기 때문에 은퇴 이전과 비교해 생활비는 비슷하게 든다. 그러나 나이가 들수록 외부 활동은 뜸해지고, 배우자 사망 등의 변수도 생겨 가계 씀씀이는 점점 감소한다. 80대엔 50~60대에 쓰던 생활비의 절반만 있어도 충분하다는 은퇴 전문가도 있다.
베스트셀러 <87세 비즈니스맨, 지금이 최고 전성기>를 펴낸 88세 코리야마시로씨는 “나이가 들수록 소비 욕구가 약해지기 때문에 큰 병에 걸리지 않는 한, 그렇게 큰 돈이 필요하지 않다”면서 “퇴직하고 돈을 더 많이 벌겠다고 자꾸 욕심을 내면 오히려 삶의 균형이 깨져 불행해지기 쉽다”고 말했다.
노후 자금은 얼마나 준비해야 할까. 설문조사에 참여한 80대 남녀 200명은 “자식에게 손 벌리지 않을 정도의 저축은 해둬라”라고 했다. 이밖에 연금만 갖고서 생활할 수 있게 미리 재무설계에 힘쓰고, 절약, 보험 가입, 대출 상환 등도 신경쓰라고 조언했다.
70대 이하 후배들에게 권하고 싶은 투자 활동으로는 주식 투자가 최고로 뽑혔고, 그 다음으로는 펀드, 연금, 일본채권, 금투자, 해외채권 등의 순이었다.
3. 퇴직 후 외로움은 ‘넓얕행’으로 이겨내라
‘생활비가 부족하면 어떡하지?’. 퇴직 후의 삶에 대해 대다수 사람들은 돈 걱정부터 한다. 하지만 80대 선배들은 노년엔 돈보다는 외로움이 더 문제라고 말한다.
특히 직장에 평생 헌신하며 살아온 ‘회사올인형 남성’은 퇴직 후 사회적 고립에 괴로울 수 있는 만큼, 지루한 고독감을 극복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80대 선배들은 노년 고독을 이겨낼 구체적인 방법으로 ‘취미 활동에 참여한다’, ‘지역활동에 참여한다’, ‘부부 대화를 자주 한다’, ’부부·가족 여행을 떠난다’ 등을 추천했다. ‘늙으면 부부 밖에 없다’는 말이 있다더니, 설문에 참여한 80대 응답자 10명 중 7명은 ‘인생에서 소중히 생각했어야 할 사람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배우자’라고 답했다.
댓글